<브로커>는 2022년 개봉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첫 한국 연출작으로, ‘베이비 박스’를 둘러싼 특별한 여정을 통해 생명, 가족, 책임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섬세하게 풀어낸 작품입니다.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으로도 화제를 모았으며, 송강호, 강동원, 이지은(아이유), 배두나 등 화려한 출연진이 참여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브로커>의 연출을 맡은 감독의 시선, 주요 등장인물들의 특징, 그리고 영화의 핵심 줄거리를 중심으로 작품을 깊이 있게 해석합니다.
영화 브로커 감독 –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시선과 의미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주의 영화감독 중 한 명으로, <아무도 모른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어느 가족> 등에서 보여준 섬세하고 인간 중심적인 시선으로 세계적으로 주목받아왔습니다. <브로커>는 그의 첫 한국 연출작으로, 한국 제작진과 배우, 그리고 언어로 완성된 이색적인 프로젝트입니다. 그는 이 영화를 통해 '버려진 아이', '브로커', '가짜 가족'이라는 민감한 소재를 다루면서도, 누구도 비난하지 않고 각자의 삶에 이유가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감독 특유의 비판하지 않는 시선, 인물의 내면을 깊게 들여다보는 연출은 <브로커>에서도 고스란히 유지됩니다.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관찰하지만, 그 속에 가슴을 울리는 드라마가 담겨 있는 것이 고레에다 영화의 특징이며, <브로커>도 그 계보를 잇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일본 감독이 한국의 사회문제를 스크린에 올렸다는 점입니다. 그는 영화 속 '베이비 박스'와 입양 문제를 통해, 한국 사회의 제도적 결핍을 비판하기보다는 ‘사람의 마음’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로 인해 관객은 문제의 윤리성을 따지기보다, 각 인물의 입장과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게 됩니다. 고레에다의 인간 중심 철학은 <브로커>를 단순한 사회 드라마가 아닌, 보편적 감성 영화로 확장시킵니다.
등장인물
<브로커>는 다양한 사연을 지닌 인물들이 ‘버려진 아이’를 매개로 한자리에 모이며 시작됩니다. 이들은 처음엔 서로 목적이 달랐지만, 함께 시간을 보내며 하나의 ‘가족’ 같은 공동체를 형성해 갑니다. 각 인물은 단순한 캐릭터가 아니라, 한국 사회의 그림자를 품은 인간 군상으로 입체적으로 그려집니다. 송강호가 연기한 ‘상현’은 세탁소를 운영하면서 입양 브로커 일을 겸하는 인물입니다. 겉으로는 능청스럽고 이기적인 인물처럼 보이지만, 어린 시절 자신이 입양되었던 경험을 통해 아이를 함부로 다루지 않습니다. 그는 오히려 아이의 행복한 미래를 진심으로 바라는 인물이자, 이 영화의 정서적 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강동원은 고아원 출신 ‘동수’ 역을 맡았습니다. 냉소적이고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지만, 아이 앞에서는 누구보다도 다정한 인물입니다. 동수는 범죄에 손을 댄 과거를 가진 캐릭터이지만, 아이와의 여정을 통해 변화하고 성장합니다. 이지은(아이유)은 ‘소영’이라는 미혼모 역할을 맡아, 복잡한 감정을 세밀하게 연기합니다. 아이를 직접 베이비 박스에 맡긴 후 브로커들과 동행하며 점차 자신이 선택한 삶에 대한 성찰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이주영, 배두나가 형사 역할로 등장하여 도덕과 법의 시선을 대변합니다. 그러나 이들조차도 결국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 앞에서 혼란을 겪으며, 영화는 선과 악의 경계를 허물고 ‘사람’ 그 자체를 조명합니다.
줄거리 – 버려진 아이로 시작된 따뜻한 여정
영화 <브로커>의 시작은 한밤중, 베이비 박스에 아기를 두고 떠나는 젊은 여성 소영(이지은)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이 아기를 몰래 데려간 상현(송강호)과 동수(강동원)는 아이를 입양시키려는 ‘브로커’입니다. 그러나 뜻밖에도 소영이 다시 나타나면서 셋은 아이의 진짜 양부모를 찾기 위해 함께 여정을 떠나게 됩니다. 그리고 이들의 뒤를 경찰 형사 수진(배두나)과 이형사(이주영)가 추적하게 되며 이야기는 본격적으로 진행됩니다. 세 명의 어른과 한 명의 아기, 그리고 그들을 뒤쫓는 경찰이라는 구조는 로드무비 형식을 따르며, 여정을 통해 인물의 감정이 서서히 변해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처음엔 아이를 거래 대상으로만 여기던 이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를 통해 서로의 상처를 공유하고 마음을 열게 됩니다. 결국 <브로커>는 “가족이란 피로 이어진 존재만이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여정은 그들 모두에게 아픔을 치유하고, 삶을 다시 마주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합니다. 영화는 마지막까지 답을 주지 않고 여운을 남기며, 관객에게 “당신이라면 어떤 선택을 했겠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브로커>는 단순한 사회 비판 영화가 아닌, 따뜻하고 섬세한 감정선으로 인물의 상처를 어루만지는 작품입니다.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인간 중심 철학, 배우들의 깊은 연기, 그리고 '가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은 오래도록 여운을 남깁니다. 의미 있는 영화를 찾고 있다면, <브로커>는 반드시 감상해야 할 작품입니다.